분류 전체보기96 [인권콘텐츠] 책 '비폭력으로 살아가기' “우리가 모두 사람과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연민 어린 행동을 하는 건 그저 자연스러운 일일 뿐이다” - 레이첼 나오미 레멘(Rachal Naomi Remen) - 마틴 루터 킹 목사는 우리가 상호 의존하고 있고 모두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않는 한 평화를 이룰 수 없다고 믿었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모든 생명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우리는 벗어날 수 없는 상호관계망에 걸려 있는데, 관계망의 씨실과 날실이 짜이면 운명이라 불리는 하나의 옷이 된다. 무엇 하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면 모두에게 간접적으로 영향이 간다. 우리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된 현실구조 때문이라도 함께 어울려 살아야 한다..... 우리가 사는 세계의 구조가 이렇게 짜여 있다. 이 세계는 이렇게 상호 연관된 특성.. 2023. 12. 5. [인권콘텐츠] 영화 '다음 소희' '다음 소희'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로 현장실습 학생들의 실태에 관한 고발이다. 영화는 처음부터 소희의 자살에 대한 유진의 조사로 시작되지 않는다. 소희의 이야기로 시작해, 경찰 유진의 조사로 끝난다. 영화의 시작부터 소희의 일상을 따라가며 소희의 죽음과 사건 재조사 과정을 보며 가슴 아팠다. 소희를 둘러싼 상황들이 너무 답답하고 오랫동안 가슴 먹먹했다. 춤을 좋아하는 고등학생 소희는 ‘나도 이제 사무직 여직원’이라며 좋아한다. 그러나 기대를 품고 출근한 콜센터는 상상과는 많이 달랐다. 진상 고객들에게 폭언과 욕설을 듣는 게 일상. 소희는 그럼에도 열심히 일했다.성과를 내도 인센티브를 지급하지 않는 현장실습의 실태와 차별적 대우, 거기다 같이 일하던 팀장의 죽음까지. 회사는 팀장의 자살을 덮고 각서에.. 2023. 12. 5. 카톡에서 권리찾기(1) 생활밀착형 권리 발굴①. 카톡에서 권리찾기 1편 지난 4월 17일 창원시 평화인권센터 개소 5주년 기념 워크숍에서 발굴된 '생활밀착형 권리'를 소개하고자 한다. '표현의 자유'라든지 '문화향유권' 같은 거창한 말로 설명하지 않고 '걱정 없이 춤추고 시를 쓰며 살 권리'라고 표현한다면 인권이 얼마나 쉽고도 다정하게 들릴까? (책 '어떤 호소의 말들' 중) 이 울림을 쫓아 함께 발굴한 생활밀착형 권리들을 우리 삶 속에 발견하고 진정한 인권향유자로 나아가길 바란다. "카톡", "카톡" 스마트폰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국민 앱 '카카오톡', 카톡이 없었을 때는 어떻게 살았을까 싶을 만큼 하루에도 수십 번 카톡을 확인합니다. 스마트폰 첫 화면에 읽지 않은 메시지를 표시하는 빨간 숫자가 있으면 마음이 불안하다.. 2023. 9. 6. 창원시 평화인권센터 6월~8월 활동소식 6월 06.09: 찾아가는 평화인권교육 '인권을 위한 기후행동' 자은지역아동센터 1차(초등) 06.13: 창원 인권신문 '부엉이' 7호 발행 06.19: 평화인권교육 연구회 '부엉이' 영상모임 '세바시: 국가인권위원회 편' 06.22: 찾아가는 평화인권교육 '인권을 위한 기후행동' 자은지역아동센터 2차(초등) 06.26: 찾아가는 평화인권교육 '인권을 위한 기후행동' 자은지역아동센터 1차(중등) 06.29: 찾아가는 평화인권교육 '인권을 위한 기후행동' 자은지역아동센터 2차(중등) 7월 07.07: 찾아가는 평화인권교육 '인권을 위한 기후행동' 해담지역아동센터 1차 07.10: 창원시 평화인권센터 40차 운영위원회 회의 07.14: 찾아가는 평화인권교육 '인권을 위한 기후행동' 해담지역아동센터 2차 07.. 2023. 9. 5. 인권을 위한 기후행동 아이들은 인권과 미래 기후위기 어떻게 생각할까? 창원시 지역아동센터 기후위기와 인권교육 후기 7월부터 창원시 관내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을 대상으로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제작한 교육영상을 활용해 기후 위기와 인권에 대한 교육을 진행했다. 영상은 4명의 아동들로 구성된 '기후어벤저스'가 지구의 1도를 수호하기 위해 미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총 4부로 나누어 다루고 있다. 기후위기가 단순히 환경문제만이 아니라 우리의 생명, 건강, 생계에 영향을 미치는 인권문제임을 알려 준다. 또한 미션을 함께 풀어나가면서 기후위기의 책임은 누구인지, 우리가 기후위기에 대응해서 해야 할 일은 무엇이 있는지 생각하게 한다.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기후위기, 기후재난에 대한 각 용어 표현에서 느껴지는 생각들을 우선 나누었다. 대형산불이나.. 2023. 9. 5. 교사와 학생들이 바라는 인권 월요일에 검은색 옷을 입고 등교하려는 이유 돌아오는 월요일(9월 4일)은 서울서이초등학교 선생님께서 돌아가신 지 49일이 되는 날입니다. 해당 선생님께서는 지난 시간 동안 교사로서, 개인으로서 감당하기 어려운 크기의 책임과 고통에 시달리셨고 결국 7월 18일 스스로 목숨을 끊으셨습니다. 그 비보로부터 우리는 비로소 지금의 학교가 얼마나 깊은 상처와 문제를 안고 있는지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그 이래로 전국 수만 명의 선생님은 교사로서 겪어온 어려움에 공감하고, 입을 모아 교권 회복과 올바른 교육 환경을 호소하고 계십니다. 서이초 선생님의 49재가 되는 다음주 월요일은 교사들이 추진하는 연가파업 형식의 ‘9.4 공교육 멈춤의 날’입니다. 30여개의 학교가 재량휴업을 결정했지만 우리 학교는 정상등교를 합니다... 2023. 9. 5. 이전 1 2 3 4 5 6 7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