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6 학교폭력, 회복적 정의를 이야기할 때 경남교육청 학교폭력 관계회복을 위한 관계회복지원단운영 평화로운 학교공동체 환경조성위해 전문가 양성 활동 중 과거 학교폭력 가해자로 알려진 유명인들은 더 이상 대중 앞에 서기 힘들어졌다. 비유명인이라고 해도 대학입시 등에 불이익을 줘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면서, 우리 사회는 학교폭력에 대한 이슈로 뜨겁다. 이에 교육부는 대학입시에서 학교폭력 조치사항을 반영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하였다. 이는 가해자에 대한 처벌에 초점을 두는 응보적 정의의 기초한 전통적 형사사법 체계의 관점에서 시작되었다고 바라본다. 응보적 정의에서는 ‘정작 당사자인 피해자가 사법절차에서 소외된다는 점’, ‘피해자가 가해자로부터 사과를 받고 피해를 회복할 기회조차 갖지 못하는 점’,‘가해자가 자신을 오히려 피해자로 인식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쉽.. 2023. 6. 2. [인권콘텐츠] 영화 '4등' 지난 연휴 중 '4등'이라는 제목의 영화를 보게 되었다. 인권감수성 부재를 다룬 내용이었다. 영화는 12살 수영선수 준호의 훈련과 성취의 과정을 다루고 있었다. 준호는 열정 부족으로 항상 4등에 머무르게 되지만, 수영에 재능을 가지고 있는 아이였다. 과거 수영 국가대표선수 출신인 광수가 준호의 코치가 되면서 일어나는 이야기였다. 광수는 폭력을 당해 선수 생활을 그만둔 경험이 있는데, 이를 고발하려 했지만 무시당했다. 그로부터 16년의 세월이 지난 후 광수가 준호의 코치가 되었고 광수는 준호에게 체벌을 하면서 가혹한 훈련을 시켰다. 가혹한 훈련과 체벌 속에서 준호는 만년 4등에서 2등이라는 성적을 거두었다. 1등과는 0.02초 차이였다. 그러나 1등이 아니라는 이유로 체벌은 계속되었고 준호의 엄마는 아들의.. 2023. 6. 2. 2023년 '창원시 아동의회' 아동의원 모집 2023. 4. 14. 우리가 원하는 아동친화도시! 덧) 어른들에게 하고 싶은 말! -나에게 좋게 대해주면 좋겠다. -마음 것 놀게 해주는 것 -아이들이 말하는 것을 행동으로 해줄 순 없어도 노력이라도 해주세요. -담배꽁초를 아무데서 버리지 않으면 -저희들이 어리다고 무시하지 마세요 -잘 대해주는 것 -저희의 말에 귀 기울여 주세요 -저희의 행동을 잘 보고 그거에 맞는 행동, 놀이 같은 걸 보여주세요 -자연파괴를 많이 자제해주세요 -동물을 보호해주세요 -어린이들의 자유를 지켜주세요 -친절하게 대하면 좋겠음 -담배피우지 마세요 간접흡연 당해요 -어른들이 화를 안냈으면 좋겠다 -잔소리랑 싫어하는 말 하지 않기 2022. 12. 9. 창원시 평화인권센터 9월~11월 활동소식 9월 09.19: 평화인권교육연구회 '부엉이' 정기모임 '나를 깨우는 바람 영상 시청 및 생각나눔' 09.20-30: 학교폭력 및 학생징계 특별교육(학생 7명, 보호자1명) 09.27: 여성친화도시 정책제안 1차 시민토론회 09.30: 찾아가는 평화인권교육 '함께 배우는 평화와 인권' 영은지역아동센터 1차 10월 10.4-5: 아동,청소년 평화인권교육 강사 양성 기본과정 10.05: 찾아가는 평화인권교육 '함께 배우는 평화와 인권' 햇살경화지역아동센터 1차 10.08: 생명평화축제 '차별용어 터트리기 풍선다트' 체험부스 진행 10.12: 여성친화도시 정책제안 2차 시민토론회 찾아가는 평화인권교육 '함께 배우는 평화와 인권' 햇살경화지역아동센터 2차 10.14: 찾아가는 평화인권교육 '함께 배우는 평화와 .. 2022. 12. 6. 가정양육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아이들을 왜 차별하나? 현재 대한민국 영유아 보육(교육) 지원 정책은 유치원,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이들과 여러 사정으로 가정양육을 선택한 아이들 간에 차별이 발생합니다. 가정양육수당이란 보육료, 유아학비,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등을 지원받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되는 만 0-6세 영유아에게 지원되는 금액을 말합니다. 지난 2013년부터 전계층 무상보육이 시행된 이후, 2022년 기준으로 어린이집(또는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의 경우 매월 35만원(5세) ~ 55만원(만 2세, 24시 기준)까지 보육료(또는 유아학비)를 보호자에게 지원합니다. 하지만,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다니지 않는 만 2세는 15만원, 만 3~5세는 10만원의 가정양육수당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운영을 위하여 보육(교육)기관에 직접 지원.. 2022. 12. 6. 이전 1 ··· 3 4 5 6 7 8 9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