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6

산업재해의 현실 1. 산업재해란, 노동자가 일을 하던 중, 일과 관련된 사고로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합니다. 산업재해는 산업의 발달에 따라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로 발생하며, 다수의 산업은 그 현장 자체가 이미 재해 발생의 위험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재해의 완전한 근절이란 이룰 수 없는 꿈과도 같은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산업재해 현실은 이 꿈의 근처에도 오지 못합니다. 2021년 한 해만도828명이, 2022년 상반에만도 320명의 노동자가 산업재해로 인해 사망하였습니다. 우리는 OECD 가입국 중 산업재해 사망자 관련 통계에 있어서 최상위권을 양보한 적이 단 한 번 도 없습니다. 이러한 현실의 근본 원인은 기업의 이윤추구 문화에 있습니다. 단기간의 고도성장을 위한다는 명목으.. 2022. 9. 6.
[인권수필] 아이들과 마주이야기 “선생님~ OO은 필리핀 사람이에요.” 돌봄 교실에서 만난 1학년 아이가 한 말이다. 이 말을 들고 또 다른 학생은 “△△는 우즈베키스탄 사람이에요.” 나는 “아~ 그렇구나! OO은 필리핀 말을 할 수 있어 좋겠다.”고 했더니, 못한다고 말하자 다른 친구가 “쟤는 자기나라 말도 못한대요.” 라며 일러바치듯 말하는 것이었다. 일주일에 한 번 동화책 수업을 하는 나는 아이들에게 뭔가 얘기를 해야겠다는 생각에 “OO은 한국 사람이야, △△이도 한국사람.” 그러자 학생들 모두 눈을 동그랗게 뜨고 고개를 갸웃거리며 이해가 안 된다는 눈빛을 보내고 있었다. “한국에서 살고 있고 교육도 받고 있으니 둘 다 한국 사람이야.” 아이들이 멀뚱멀뚱 이해가 되지 않은 표정이어서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해보였다. “서울에 사는 사.. 2022. 8. 30.
전태일 말고도 기억해야 할 이름들 [인권콘텐츠] 영화 '미싱타는 여자들' 제10회 창원여성인권영화제를 다녀오다 지난 9월1일(목)부터 3일(토)까지 창원롯데시네마 4관에서 진행된 창원여성인권영화제를 다녀왔다. 사전접수를 통해 첫 번째 '미싱타는 여자들'부터 '까만점', '육상의 전설'까지 줄줄이 영화를 볼 수 있었다. 영화제이기에 가능했던 감독과의 만남과 많은 사람들이 같은 공감대로 영화를 집중해서볼 수 있었던 것이 참 좋았다. 남은 이틀은 아쉽게 다 참여할 수 없었지만 다음을 기약하며 첫날, 첫 영화의 감동을 기록해보고자 한다. 전태일 말고도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이름들 1970년대 평화시장이라는 곳에는 이름이 무색하게도 평화는 없었던 것 같다. 지금은 상상할 수도 없는 가혹한 노동과 그 노동을 당연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줄 알았던 우.. 2022. 8. 29.
아동,청소년평화인권교육 강사 양성 기본과정 모집 [창원시 평화인권센터] 아동,청소년 평화인권교육 강사 양성 기본과정 모집! 2019년 이후 오랜만에 강사양성과정을 진행합니다. 10월 기본과정 후 전문, 심화과정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부탁드립니다^^ 접수링크: https://forms.gle/Y2f5Hh2QVaQxHZDa9 2022. 8. 26.
제 10회 창원여성인권영화제 "시선이 it : 잇다" 올해로 10회를 맞이한 창원여성인권영화제! 총 8편의 다양한 여성인권영화와 함께 성평등한 세상을 향한 여러분들의 시선을 이어주세요! - 일자: 2022년 9월1일(목)~ 3일(토) - 장소 : 롯데시네마 창원 4관 - 사전접수 : https://forms.gle/E7VGFpbMy6NY1GrR8 - 현장접수 : 선착순 마감 예정 ( 원활한 티켓 배부를 위해 상영시간 30분 전으로 방문해 주세요.) - 문의 : 창원여성의전화 사무국 055-266-3722 2022. 8. 25.
'어쩔 수 없다'는 핑계는 그만, 누구나 누리는 투표소 창원시 평화인권센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소 모니터링 창원시내 80개 투표소 방문조사 개선된 점 있지만 여전히 불편 요소있어 창원시 평화인권센터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맞아 누구나 참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지난 제21대 국회의원선거에 이어 투표소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5월 27일, 28일 사전투표기간과 6월 1일 선거 당일 총 80개소의 투표소(33곳은 사전투표, 본투표 모두 열리는 곳)를 직접 방문해 투표소 현황, 접근성, 건축물 출입구, 건축물 내부, 코로나19 대응 등을 조사했다. 조사된 곳 중 55개소(68.5%)가 지상 1층에 위치했고 지상 2층 14개소(17.7%), 지상 3층 4개소(5%), 지상 4층 이상 4개소(5%), 지하 1층 3개소(3.8%) 순으로 조사.. 2022.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