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권교육6

2024년 창원시 평화·인권교육 강사 양성과정 모집 모집합니다. 인권 감수성과 평화 교육의 역량을 키우는 기초-전문-심화까지 과정입니다. 인권 개념부터 갈등 해결 및 평화교육, 혐오와 인권에 대한 내용 등 '인권'과 관련된 다양하고 수준 높은 강의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어떤 분야에서도 빠질 수 없는 단어가 '인권'입니다. 선착순 20명만 강의를 들을 수 있으니 빠른 신청 부탁드립니다.^^  *일정: 기본 11.19(화)-20(수)/ 전문 11.21(목)-22(금)/ 심화 12.3(화)-4(수) 오전 10시~오후 5시(출석 90% 이상) *교육장소: 마산YMCA 3층 청년관 *교육대상: 창원시민 선착순 20명 *참가비: 각 과정 2만원 *문의: 055-251-4837 오승민 https://forms.gle/nX7AtxFchTdzgkJf8 2024. 10. 24.
인권을 위한 기후행동 아이들은 인권과 미래 기후위기 어떻게 생각할까? 창원시 지역아동센터 기후위기와 인권교육 후기 7월부터 창원시 관내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을 대상으로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제작한 교육영상을 활용해 기후 위기와 인권에 대한 교육을 진행했다. 영상은 4명의 아동들로 구성된 '기후어벤저스'가 지구의 1도를 수호하기 위해 미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총 4부로 나누어 다루고 있다. 기후위기가 단순히 환경문제만이 아니라 우리의 생명, 건강, 생계에 영향을 미치는 인권문제임을 알려 준다. 또한 미션을 함께 풀어나가면서 기후위기의 책임은 누구인지, 우리가 기후위기에 대응해서 해야 할 일은 무엇이 있는지 생각하게 한다.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기후위기, 기후재난에 대한 각 용어 표현에서 느껴지는 생각들을 우선 나누었다. 대형산불이나.. 2023. 9. 5.
아이들과 함께 배우는 평화와 인권 ‘모든 사람은 자유롭고 존엄하며 평등하다’ 아이들은 세계 인권 선언 제1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올해 찾아가는 평화인권교육에서 모든 사람, 자유, 존엄, 평등 각 단어에 대해 떠오르거나 생각나는 것 등을 적어보며 인권을 정의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모든 사람이 자유로운지, 존엄하다는 것은 무엇인지, 똑같이 대우하는 것이 평등인지 또 ‘모든 사람’의 범위는 어디까지 인지 말이다. 아이들이 생각하는 모든 사람은 세계에 있는 사람, 성격도 피부도 다른, 지구인, 우주 안에 있는 사람들, 이 세상에 태어난 사람들이라고 한다. ‘모든 사람’에는 아무도 소외되는 사람이 없다. 아이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말 그대로 모든 사람은 자유롭고 존엄하며 평등하다. 그러나 현실은 모든 사람이라는 범주에 속하지 못하는 사.. 2022. 12. 6.
아동,청소년평화인권교육 강사 양성 기본과정 모집 [창원시 평화인권센터] 아동,청소년 평화인권교육 강사 양성 기본과정 모집! 2019년 이후 오랜만에 강사양성과정을 진행합니다. 10월 기본과정 후 전문, 심화과정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부탁드립니다^^ 접수링크: https://forms.gle/Y2f5Hh2QVaQxHZDa9 2022. 8. 26.
'우리가 원하는' 아동친화도시 창원 아동친화도시(UNICEF Child Friendly Cities)는?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담긴 아동의 권리를 온전히 실현하고, 아동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아동에게 친화적인 환경을 갖춘 자치단체를 말하는 것으로, 아동과 관련된 일을 시행할 때 아동의 의견 듣고 정책 등에 반영하는 ‘아동의 참여’, 아동의 권리를 증진하고 보호하는 ‘아동친화적인 법체계 구축’ 등 아동친화도시 조성에 필요한 10가지 조성원칙을 바탕으로 46가지 세부항목을 평가해 인증여부를 결정한다. 창원시는 지난 2021년 12월 28일 유니세프한국위원회로부터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획득했고 3월 22일 선포식을 가졌다. 아동이 행복한 도시가 미래의 경쟁력을 가지는 도시가 된다는 강한 의지로 지난 3년간 착실히 준비한 결과 인증.. 2022. 6. 8.
[인권콘텐츠] 책 '동그라미 인권' 동그라미 하나를 그리면 인권의 모든 세계가 보인다. 지난 3년간 지역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인권교육강사로 활동했다. 교육생들은 인권교육에서 호기심있는 반응보다 불편하지만 들어야하는 의무교육으로 여기며 인권교육에 대해 다소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이들에게 인권교육이 불편함이 아닌 편안하고 친밀한 교육이 되기 위해 교육 콘텐츠를 찾고 연구했다. 인권감수성 교육에 초점을 둔 나에게 세계인권선언 제1조 '모든 사람은 자유롭고 존엄하며 평등하다'의 개념을 다시 생각하게 해준 것이 책과 교육이다. 창원시 평화인권센터에서 인권강사 심화교육 과정으로 책의 저자가 강의하는 교육에 참여했다. 교육을 통해서 내 인권강사의 삶을 성찰하게 되고 인권에 대해 새로운 물음표와 느낌표가 생겼다. 내가 경험하고 집중했던 인권의 세상은.. 2022. 6. 7.